[자연과과학] 전자기학의 ABC
후쿠시마 하지메 저
전파과학사 2016-11-21 YES24
상대론에 관한 입문서는 많지만 전자기학의 입문서는 거의 없다.전기장과 자기장이 자연계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나름대로 듣고 알고 있는 일이다. 그러나 그것이 정말로 어떤 것이며, 왜 그런 것을 과학자가 생각하게 되었느냐고 하는 점에 대해서는 모르는 일이 많다. 따라서 이 책은 전자기의 여러 가지 현상을 살펴가면서, 이 전기장과 자기장을 철저히...
[자연과과학] 과학한다, 고로 철학한다
팀 르윈스 저/김경숙 역
MID 엠아이디 2016-10-05 YES24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적 사실은 진리일까?과학의 한계와 의미에 대해 논하는 최고의 과학철학 입문서어렸을 때를 생각해보자. 과학 시간에 혀의 미각 분포도를 공부했던 것을 기억하는가? 달고 짜고 시고 쓴 네 가지의 맛을 공부하던 것은? 실험시간에 단맛을 혀끝이 아닌 다른 부분에서도 느낄 수 있다고 말해 혼났던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이제 와 그 시절의 과학 선...
[자연과과학] 과학기술과 환경 그리고 위험커뮤니케이션 - 과학문화연구5
임경순,김춘식,송성수 공저
한국학술정보 2016-05-20 YES24
레이철 카슨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사상, 환경교육, 구제역, 식품 안전, 내분비계 교란 물질, 나노윤리 등 위험 소통과 관련 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레이철 카슨에서 시작된 위험 소통에 대한 논의가 이제 우리 사회 전체의 중요한 주제로 확산되어가는 것 을 실감하게 된다. 우리 사회가 이처럼 점점 더 위험 사회로 접어드는 까닭은 인간이 자연에 대한 변...
[자연과과학] 과학기술철학 연구
정광수 저
이담북스(이담Books) 2016-05-17 YES24
우리가 살고 있는 최근의 ‘포스트모던’ 시대는 ‘주지주의’의 연장선일까 혹은 종교는 아닐지라도 예술 등이 우세한 ‘주정주의’가 재등극하는 시대일까? 일반적으로 볼 때, 포스트모던의 특징은 이성, 지성과 감성, 정서의 ‘복합’ 또는 ‘융합’으로 말할 수 있다. 과학과 예술이 만나고 과학에서 얼마나 상상과 직관적 요소가 중요한가를 인식하고, 예술에서 관찰과 실...
[자연과과학] 과학의 진보와 창조성
김웅진 등저
한국학술정보 2016-05-04 YES24
과학철학적 담론은 비단 사회과학연구뿐만 아니라 모든 과학연구에 진보의 역동성을 부여한다. 즉 과학연구의 목표와 소산, 절차와 방식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과 회의는 경직된 유리스틱의 교조적 시각을 벗어나 연구지평의 창조적 확장을 달성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이 책에 수록된 여덟 편의 글은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와 신문방송학과, 그리고 정치외교학과...
[자연과과학] 과학기술과 공간의 융합 - 과학문화연구 02
임경순,김춘식 등저
한국학술정보 2016-05-04 YES24
포스텍 과학문화연구센터의 논문집. 과학기술과 공간의 창출이라는 주제로 철학, 역사학, 국문학, 독문학 등 과학기술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는 연구자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과학기술과 연관된 주제를 다룬 연구 결과물을 모았다.
[자연과과학] 만화로 읽는 주기율표
사이토 가쓰히로 저/다카야마 미카 그림/김소연 역
해나무 2016-01-27 YES24
『만화로 읽는 주기율표』는 글과 만화가 쫀쫀하게 결합한 교양 화학책이다. 아기자기한 그림에 빠져 책장을 술술 넘기다 보면 이름조차 잘 몰랐던 원소들이 머릿속에 쏙쏙 들어오면서 유쾌하게 주기율표를 돌파하게 된다. 교과서에서 못다 푼 118개 원소들에 대한 유익한 정보와 다채로운 이야기가 와글와글 쏟아진다. 빅뱅으로 가장 먼저 생겨난 가장 가벼운 원소인 수소부...
[자연과과학] 영화 마션의 과학적 진실
공명식 저
로이북스 2015-12-22 YES24
우주영화를 좋아하는 나로써 마션은 우주 영화 중 한층 현실에 가까운 다큐멘터리를 보는 느낌이었다. 본래 우주영화는 외계인을 비롯하여 알 수없는 물질과 현상을 보여줌으로써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시킨다. 최근 개봉한 영화 마션에는 이러한 재미있는 요소는 다 집어 넣은 것같다.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 , 아마겟돈 , 아폴로 13호 캐스트 어웨이까지 영화를 보는...
[자연과과학] 아이작 아시모프의 과학 에세이
아이작 아시모프 저/권루시안 역
아름다운날 2015-08-10 YES24
‘과학’은 라틴어로 지식을 뜻하는 스키엔티아에서 유래된 말로, 실제 세계를 앞뒤가 맞게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가리킨다. 당구의 달인이 반드시 물리학과 역학을 공부했다고 할 수는 없다. 그들은 운동량 보존의 법칙은 물론 공에 회전을 넣어 생겨나는 각운동량에 대한 복잡한 수학을 이해하지도 못하는 채 과학적 원리를 주의 깊게 응용하여 당구를 친다. 직구와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