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고프다
버려진 기억을 끄집어내는 일,
답답한데 도통 답 없는 고통 속에서
나를 치유케 하는 첫 걸음
로디지아-짐바브웨와 캄보디아-타이 국경지역에서 외과의사로, 아시아·중동·유럽 분쟁국가에서 국제 적십자사 의료분야 담당관으로 활동했던 다니엘 뒤푸르 박사는 그곳에서 고통 받는 이들을 마주했다. 자식을 잃은 부모들, 강제로 이송된 사람들, 정치적 이유로 감옥에 갇힌 사람들도 있었고, 가족에게 외면당하는 나병 환자들, 정치적·종교적으로 억압당하는 소수자들도 있었다. 매우 극단적이고도 피폐한 환경이었기에 그들의 고통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박사는 이후 20여 년간 개인병원에서 보통의 사람들을 만나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놀랐다. 그가 만난 보통의 사람들, 그러니까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고 있고, 특별히 병명을 부여받지도 않은, 심지어는 자신의 증상을 미처 깨닫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겪고 있는 갖가지 고통과 그로 인해 표출되는 반응이 분쟁지역에서 만났던 이들과 별반 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저자는 그 특수한 환경의 사람들과 보통의 사람들 사이에 공통점을 찾기 시작했는데, 우리 모두에게는 ‘버림받은 기억’이 있다는 거다.
여기서 버림받는다는 것은 우리 모두가 살면서 적어도 한 번 이상 겪게 되는 일이다. 부모의 죽음, 연인과의 이별, 친구와의 싸움 등 상대가 ‘버린’ 것이 아닐지라도 그 충격과 상처 때문에 ‘버림받았다’고 느끼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개개인별로 버림받은 시기에 대한 편차는 있을지언정 우리 모두는 버림받고, 그 때문에 아파한다. 그러나 버림받는다는 느낌이 어디 그리 유쾌하던가?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버림받았다는 느낌을 거부하거나, 최소화한다. 저자는 이 와중에 우리 모두의 ‘버려진’ 기억을 끄집어낸다. 왜? 그는 지난 20여 년 동안 ‘내가 참 사랑이 고픈 사람인데 원하는 만큼 사랑받지 못했구나’라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만으로 치유될 수 있었던 사람들을 숱하게 봐왔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저자는 몸도 마음도 도저히 마땅히 아플 이유가 없는데 이상하게 아프고, 정말 딱히 이유는 잘 모르겠는데 삶이 무언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스스로 헤쳐 나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해 주고자 ‘버려짐’이라는 단어를 조심스레 꺼내어 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