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과학] 블랙홀
브라이언 콕스,제프 포셔 저/박병철 역
알에이치코리아(RHK) 2025-04-18 YES24
칼 세이건을 잇는 우리 시대의 물리학자 브라이언 콕스의 블랙홀 연구 결정판!“블랙홀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책.” 물리학자 김범준 추천‘블랙홀’은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모르는 존재다. “블랙홀을 알기 위해서는 물리의 거의 모든 내용을 알아야 한다”고 할 만큼, 블랙홀은 물리학, 천문학 등을 공부할 때 절대 빼놓을 수 없고, 블랙홀을 통하지 않고서는 우...
[자연과과학] 뇌가 힘들 땐 미술관에 가는 게 좋다
수전 매그새먼,아이비 로스 저/허형은 역
윌북(willbook) 2025-03-21 YES24
★★★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블룸버그 올해의 책 선정 ★★★· 존스홉킨스대 뇌과학자 ? 구글 디자인 아티스트가 밝혀낸 아름다움에 끌리는 뇌의 비밀· 불안, 트라우마, 질병을 치유하는 예술의 놀라운 힘을 최신 뇌과학 연구로 밝혀내다· 정재승 교수, 세스 고딘(『마케팅이다』 저자), 앤절라 더크워스(『그릿』 저자) 강력 추천!“예술과 뇌과학을 동시에 사랑하게...
[자연과과학] 궁금했어, 우주 개발 : 사이언스 틴스 17
홍대길
나무생각 2024-11-12 우리전자책
새로운 우주 시대를 펼쳐 가는 끝없는 우주 탐험의 꿈 인류는 오랫동안 밤하늘의 달과 별을 보면서 우주를 여행하는 상상을 해 왔어요. 그 상상은 로켓 기술이 발전하면서 조금씩 현실이 되었지요. 1957년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가 지구를 한 바퀴 돌았고, 1961년 유리 가가린은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았어요. 그러다 마...
[자연과과학] 새는 바보다 - 전 세계 바보 새 도감
매트 크라흐트
메디치미디어 2024-10-29 우리전자책
진지하고 지루한 조류 도감은 가라! 전 세계의 엉뚱하고 바보 같은 새들을 만나는 새로운 방법 수십 년 동안 새를 관찰해온 탐조가이자 작가, 일러스트레이터인 매트 크라흐트가 이전에 없던 독특한 조류 도감을 선보인다. 열 살 때 만난 학교 선생님 덕분에 새 관찰을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는 베테랑 조류 관찰자인 저자는 비록 전문 조류학자는 아...
[자연과과학] 해부학자의 세계
콜린 솔터 저/조은영 역
해나무 2024-10-25 YES24
우리 몸의 내부 작용은 어떻게 밝혀졌을까? 각 장기의 이름은 어떻게 붙여졌을까? 고대 이집트부터 르네상스 시대와 근대를 지나 21세기에 이르기까지, 약 5000년 동안 해부학자의 서재를 채운 책 속에는 인체 이해, 예술적 기법, 사회 변화의 역사가 담겨 있다. 『해부학자의 세계』는 유럽을 비롯해 중동, 중국, 일본에서 출판된, 역사상 중요한 해부학 책 15...
[자연과과학] 아인슈타인과 논쟁을 벌여봅시다
후위에하이 저/이지수 역/천년수 감수
미디어숲 2024-10-20 YES24
위대한 물리학자들의 발자취를 따라 살펴보는주요 물리학 이론들의 탄생과 발전 과정12명의 천재 물리학자와 함께 떠나는 물리학 대탐험200년 물리학의 진화를 이 책 한 권으로 이해한다!이 책은 풍부한 사례와 생생한 묘사를 중심으로 독자들이 시공간을 넘나들며 다양한 시대에 걸쳐 일어난 물리학의 주요 사건과 인물을 한 편의 영화를 보듯이 생생하게 경험하게 한다. ...
[자연과과학] 아는 만큼 보이는 세상 : 우주 편
마쓰바라 다카히코 저/송경원 역
유노책주 2024-10-14 YES24
별이 무수히 많은데도 밤하늘은 왜 어두울까?로켓처럼 빠르게 날아가면 미래로 갈 수 있을까?마블 영화 속 평행우주는 진짜로 존재할까?“우주를 아는 만큼 미래가 커진다!”보통 ‘우주’라고 하면 무엇을 떠올리게 될까?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 블랙홀, 인공위성, 그리고 우주를 배경으로 한 각종 SF 영화들일 것이다. 20세기 영화의 상징인 〈스타워즈〉부터, 최근에...
[자연과과학] 천문학과 생물학적 관점에서 본 창조론
김동찬 저
좋은땅 2024-10-10 YES24
이 책은 천문학과 생물학적 관점에서 창조론을 바라본 책으로, 크게 세 가지 내용을 담고 있다: i) 우주, ii) 지구, 그리고 iii) 창조인가 진화인가?이다.우주 부분에서는 우주의 기원에 대해 살펴보며, 성경 창세기에 기록된 천지창조 이야기가 현대 천문학 연구로 밝혀진 관측 사실과 어떻게 일치하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지구와 태양의 창조, 젊은 지구 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