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의 역사 3 - 군상(群像) 나라를 뒤흔든 사람들
일간지 최고의 역사 연재작
박종인의 땅의 역사 그 세번째 이야기!
30년 차 베테랑 여행문화전문기자 박종인. 그가 부지런히 보고, 듣고, 걸었던 이 땅의 또 다른 이야기가 시작된다. 『땅의 역사 3 - 군상(群像): 나라를 뒤흔든 사람들』에서는 기존에 우리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사실은 알게 모르게 왜곡되고 은폐되어온 ‘인물’들의 이야기다. 이를 두고 작가는 ‘군상의 민낯’이라고 하는데, 꽤 오랜 시간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인물들의 삶을 다루고 있다.
우리 역사의 무수한 페이지들은 사람을 위해, 사람에 의해 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대적 배경이 다를 뿐, 예나 지금이나 사람 사는 방식은 다 똑같다. 누군가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해 빛을 좇고, 누군가는 더 나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어둠을 좇는다. 이처럼 동시대를 살면서도 각기 다른 선택과 행동을 했던 수많은 이들을 통해 역사는 다양한 갈래로 나뉘어 발전해 왔다. 그래서 어떤 것이 ‘최선’의 삶인지 또 누구의 삶이 내 인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 꼭 한 번쯤 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책의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
때로는 용감했고, 때로는 무식했으며
또 때로는 지혜로웠던 이들을 말하다!
1장 ‘정치와 정치인’에서는 저마다 다른 이상을 품고 나랏일에 임하던 정치인들의 이야기다. 폭정으로 악명 높은 연산군을 앞에 두고도 각종 올바른 말을 하다 잔인하게 죽어간 내시 김처선과 자기 아들의 죽음을 팔아서까지 임금에게 잘 보이려 했던 간신 임사홍의 일화에서부터 관습적인 세금징수보다 백성들의 실질적인 삶이 중요하다는 원칙하에 정책을 펼쳤던 행정가 이서구의 일화, 그리고 말로만 하는 정치를 거부하고 직접 백성들의 삶에 들어가 어려움을 함께 공유하고자 했던 실용주의 관리 서유구의 일화 등을 통해 오늘날과 다름없는 조선시대 정치계의 풍경을 드러내고 있다.
2장 ‘개혁과 반동’에서는 더 나은 미래의 나라를 위해 힘쓰고자 했던 이들의 이야기다. 인질로 잡혀가 8년을 살던 청나라에서 새로운 학문과 세계에 눈을 떠 귀국 후 모국을 발전시키려 했던 소현세자와 강빈 부부를 비롯하여 성리학과 양명학을 발견 후 일찍이 서양 학문에 눈을 떠 책을 내기까지 했지만 끝내 이해받지 못한 죽은 홍대용의 일화 등 당시 조선을 너무 앞서간 혁명적인 주장이었던 탓에 그 뜻을 제대로 이룰 수 없었던 이들의 삶을 말한다.
3장 ‘전쟁과 군상’에서는 나라의 안위를 위해 저마다의 방식으로 싸웠던 이들의 이야기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명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의 승리는 우연이 아닌 필연일 수밖에 없었다는 일화를 비롯해 헤이그밀사 사건 당시 녹슨 중국제 피스톨과 작은 딱총만으로 나라를 지키기 위해 활동한 어린 의병들의 모습을 말한다.
4장 ‘상남자’에서는 혼란스럽고 어려웠던 시대 속에서도 자신의 뜻과 이상향을 굽히지 않으려 했던 이들의 이야기다. 1636년 병자호란이 터졌을 무렵, 끝도 없이 엄혹한 사대의 시대 속에서도 그림을 그리며 자기 세계를 굳건히 했던 화가 정선을 비롯하여 독립운동에 누구보다 앞정서며 다양한 사회활동과 집필활동을 통해 조선의 독립을 이루고자 힘썼던 한용운의 삶을 통해 오늘날 우리의 역사가 이어져 오기까지 자신의 세계를 묵묵히 지키며 살았던 이들을 보여준다.
각각의 인물을 대표하는 흥미로운 키워드에서부터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한 고증, 현장감 넘치는 ‘그날’과 ‘그들’의 사진 그리고 역사의 흔적을 직접 찾아볼 수 있게 하는 답사안내까지. 『땅의 역사 3』 보다 다채로우면서도 인간적인 역사인문기행서가 또 있을까?
거짓을 말하지 않는 땅,
그 위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답을 던지다!
저마다 자기 시대를 살며 커다란 발자국과 짙은 그림자를 던진 사람들이
다. 그런데 그 발자국과 그림자가 가리키는 방향과 깊이는 매우 다르다. 그 시
대를 보다 높은 곳으로 옮기기 위해 노력했던 사람이 있고, 그 시대의 악(惡)
과 맞서 선(善)과 정의를 실천하려던 사람이 있다.
-작가의 말 중-
우리는 늘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한다. 어떻게 사느냐는 곧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과 닿아 있기 마련이다. 이 과정에서 ‘나’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중심으로 행동하고 선택하며 각자 몫의 삶을 선택한다. 누군가는 나라를 우선으로, 누군가는 가족을 우선으로, 또 누군가는 자신의 명예를 우선으로 생각하듯 말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과거의 인물들 또한 어쩌면 먼저 시대를 앞서 살았다는 것뿐 현재의 우리와 다를 바 없다고 할 수 있다. 몇천 년의 난세 속에서도 빛을 좇은 사람은 빛만을 좇았고, 어둠을 좇은 사람은 끝까지 어둠만을 좇았기 때문이다.
흔히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한다. 과연 우리는, 우리가 당도해 있는 이 역사에 대해 얼마만큼 알고 있을까? ‘필터에 남아 있는 찌꺼기들을 보려고 한다. 우리가 무심코 지나쳤거나 혹은 이런저런 이유로 은폐됐거나 왜곡돼왔던 참 많은 군상(群像)들의 민낯을 대면하려고 한다.’라는 작가의 말마따나 알지 못했던 역사의 이면을, 이제는 제대로 알고 볼 필요가 있음을 이 책에선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