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90년을 살아보니 세상만사 별일 아니더라후회도 고뇌도 바닷바람 타고 날아가더라대한민국의 근현대사를 온몸으로 겪어내며아버지로서 살아온 한 남자의 인생 이야기90여 년의 삶을 관통했던 온갖 일들을마치 한 편의 소설처럼 유쾌하게 펼쳐내다저자는 1938년생으로 어린 시절 8·15 광복과 6·25 전쟁을 겪은 세대다. 모두가 없이 살고 어렵게 살던 그 시절에도 저자는 늘 긍정적인 사고와 유쾌한 성격으로 시련을 이겨냈고 지금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제 지난 90여 년의 삶을 돌아보며 자서전적 글을 남긴다. 자식들과 손주들, 그리고 이후의 후손들에게 남기는 이 글에는 저자가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짊어졌던 가장의 무게와 그때의 고뇌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 속에서 대한민국의 근현대사가 파란만장하게 펼쳐진다.
저자소개
1938년, 동해 바닷바람을 타고 “짠” 하고 세상에 등장한 이분은 경상북도 영덕의 순도 100% 본토박이. 출생과 동시에 ‘인생대학교’에 자동 입학, 수료는커녕 2025년 현재까지 장학생으로 전 과정 이수 중인 인생 베테랑이다. 인생의 신입생이던 그 시절부터 지금까지 85년간, 휴학 한 번 없이 출석률 100%를 자랑하며 ‘실전형 커리큘럼’을 몸소 소화 중이다.
젊은 날의 한 페이지는 대구에서 ‘차도남(차가운 도시 남자)’ 콘셉트로 살짝 눌러앉아봤지만, 결국 ‘바다는 나의 고향이요, 고향은 나의 바다’라는 DNA의 부름을 이기지 못하고 짐 싸 들고 영덕으로 컴백. 바다와 씨름하며 평생을 어업에 바쳤고, 그 와중에도 ‘파도에 밀리지 않는 삶의 중심 잡기’라는 고급 과목을 마스터했다.
장화 대신 슬리퍼를, 어망 대신 웃음을 드리우며 사는 지금의 작가는 여전히 “세상에 별일 다 있네” 하며 허허 웃는 긍정의 아이콘이다. 주변에서는 “저 나이에 어떻게 저리 젊은 생각을 하지?”라며 놀라지만, 정작 본인은 “마음만은 아직 스무 살”이라며 손사래를 친다.
최근에는 ‘고등어는 언제 잡는 게 제일 맛있나’보다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괴롭지 않나’를 더 자주 고민하며, 인생대학교의 심화 과정인 ‘삶의 유쾌한 태도론’, ‘긍정 마인드 실전편’, ‘웃음과 여유의 콜라보’ 등을 수강 중이다. 주름은 조금 늘었지만, 그 안엔 수십 년의 파란만장도, 굽이치는 유머도 한 스푼씩 담겨 있다.
오늘도 바다 냄새 스치는 영덕 어귀에서, 세월을 안주 삼아 인생의 농담 하나 얹으며 이렇게 말한다.
“별일 없이 산 것도, 따지고 보면 별일이더라.”
청춘은 끝나지 않았다. 단지, 바다처럼 조금 더 깊어졌을 뿐.
목차
여는 글인생잡기 - 자서전적 기록디딜방아교회를 가다동장 취임세 번째 어머니를 모시다야학 미향학원을 개설하다추억집짓기결혼신혼여행첫딸첫아들아이들의 성장 과정손자 이야기형제의 독립수산업(정치망과 미역 양식)미역 양식 사업미역 종묘장 운영분가정치망 제작 기사아버지의 별세대구로 이사(아이들의 진학)귀향당뇨병을 치료하다다시 어업 시작아이들의 결혼진갑 잔치, 칠순 잔치여행경로회장할망 뇌경색무릎관절 수술대장암에 걸리다 말다임플란트 시술기억에 남아 있는 일들(두 생명을 살린 이야기)잊혀가는 추억들세시 풍속인생 이야기를 끝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