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초고령사회 어찌할 것인가
- 저자
- 김창규 저
- 출판사
- 시대인
- 출판일
- 2025-07-25
- 등록일
- 2025-08-19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65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이 주목해야 할 이야기초고령사회는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오지 않았다. 부모를 부양하고, 자녀도 돌보며, 내 노후까지 준비해야 하는 ‘마처 세대’의 삶. 그들이 겪고 있는 현실과 우리가 준비해야 할 미래. 초고령사회의 최전선에 서 있는 일본을 통해 한국의 길을 묻다. 2024년 12월, 한국은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제는 단순한 고령화가 아닌, 사회 전체가 바뀌어야 할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오늘의 일본을 들여다보며, 내일의 한국을 준비해야 한다.노인 인구의 증가는 단순한 숫자 문제가 아니다. 노동력 부족, 의료와 돌봄의 비용 상승, 연금 시스템의 불안, 도시의 노후화, 고령자의 고립 그리고 세대 간 갈등까지 다양한 영역과 연결된다. 초고령사회는 우리 모두의 삶의 방식을 다시 묻는다.고령자가 고령자를 돌보는 초고령사회노노 간병, 간병 살인, 개호 난민, 노노 상속 등 초고령사회로 인한 어두운 현실을 조명하였다. 기대수명과 출산율이 반비례 곡선을 보이고 있는 현재,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이 맞이하게 될 현실은 무엇인지 예측해 볼 수 있다.인지증은 개인이 아닌 국민의 일일본은 전체 인구의 30%가 인지증 혹은 경도인지장애를 앓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인지증을 국민병으로 인식하고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일본에서 진행 중인 의료와 복지가 결합된 지역포괄케어 시스템과 창의적인 데이 서비스를 소개하였다. 일본의 사례를 통해 한국에 적용 가능한 사업을 모색해 보자.일본 시니어의 인생 2막 프로젝트삶의 즐거움을 포기하지 않는 고령자가 증가하고 있다. 시니어 커뮤니티와 살롱, ‘어른들의 아지트’ 이야기로 인생 2막을 향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커뮤니티 비즈니스, 은퇴 후에도 무대 위에 서는 사람들. ‘늙는다는 착각’을 깨는 생생한 사례들로 채웠다.『초고령사회 어찌할 것인가』는 노후와 인지증에 대해 우리가 몰랐던 사실들, ‘함께 늙어가는 사회’를 위해 지금 준비해야 할 것들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할 것이다.
저자소개
김창규는 사회복지사, 노인일자리 전문가, 사회적 기업가이다. 대구에 있는 사회복지법인 함께하는마음재단 기획국장, 남구시니어클럽 관장을 거쳐, 현재 수성시니어클럽 관장, (사)한국시니어클럽협회장,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자문위원, 대구시민센터 커뮤니티 비즈니스 지원단장, 대구사회복지사협회운영위원, 대구경북사회적기업아카데미 운영위원, 대구공업대학 복지경영학과 겸임교수로 있다.
2000년부터 사회복지현장에 몸담으면서 대구 남구 이천동에서 마을만들기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경험의 재구성과 자원의 재활용'을 주창하고 지역사회에서 지역공동체형 사회적기업에 관심을 가지고 커뮤니티 비즈니스 확산에 힘쓰고 있다. 실제 햇빛촌떡방, 행복한나눔가게, 행복한고물상, 커뮤니티 비즈니스 카페, 사회적기업 '두두(豆豆)', 사회적기업 '물물(物物)' 등 지역사회와 더불어 살아가는 지역밀착형 고령자 사업체를 만들어냈다.
목차
머리말추천사1장 초고령사회, 마주해야 할 현실들01 2025년 문제 예측된 상황 02 고령자가 고령자를 돌보는 사회03 사회 속 표류자가 된 고령층04 숨어버린 사람들, 은둔형 외톨이05 죽어야 보이는 사람들, 고독사시니어 라이프 뇌의 건강 수명을 늘리는 20가지 행동2장 지역 돌봄의 핵심, 지역포괄케어01 인지증의 시대02 의료와 돌봄을 동시에, 지역포괄케어시스템 03 사회적 편견을 깨는 사람들04 일본의 다양한 데이 서비스센터05 후쿠오카 인지증 프렌들리 센터시니어 라이프 건강 장수 가이드라인 12가지 수칙 3장 초고령사회를 새로 쓰는 이들01 길 위의 쉼표가 된 정류장과 이발소 이야기02 인지증과 함께하는 사회03 존엄과 자립을 실천하는 요양시설04 생활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는 고령자 주택05 주택케어복지가 어우러진 공동체 주택 나스마을시니어 라이프 인지증 대응 7대 원칙 4장 소비시장의 변화, 시니어 시프트01 시니어 시프트의 출현02 생필품 사러 가기 어려운 쇼핑 난민, 식품 사막03 사람과 기술이 공존하는 돌봄의 해법04 인생을 마무리하는 활동 종활() 시니어 라이프 일본의 새로운 시니어 라이프 스타일 5장 액티비티 시니어로 사는 사람들01 단카이 세대와 액티비티 시니어02 나이를 떠나 즐거움이 있는 삶! 취미인클럽(??)03 일본 시니어 살롱의 인생 2막 프로젝트04 고령자들의 아지트, 삶을 디자인하다시니어 라이프 슬기로운 액티비티 시니어 생활 6장 평생 현역으로 사는 사람들01 70세 정년 시대02 지역 사회와 함께 살아가는 고령자 03 은퇴 후의 또 다른 무대시니어 라이프 늙는다는 착각 기고문최학희 시니어트렌드 2025 저자- 시니어 트랜드 2025 : 세 가지 핵심 키워드박한우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시니어 세대의 정보격차 : 디지털 시대의 도전과 기회 변재관 한일사회보장정책포럼 대표- 한국 돌봄통합지원법의 연착륙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