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계약서 작성 실무 (주택)
고종원 저
박문각 2015-11-26 YES24
실제 상담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하여 다년간 부동산현장에서 발생한 사례에 대한 상담내용을 바탕으로 중개사무소에서 일을 시작할 때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실무사례들에 대한 법률검토 및 중개활동, 특약을 서술했다.
[인문/사회] 헌법의 발견
박홍순 저
비아북 2015-11-24 YES24
헌법대로 사는 삶누구나 헌법의 중요성은 알고 있다. 헌법은 국가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담고 있어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어떠한 법률이든 헌법에 위배된다면 정당성을 상실하고 지위를 박탈당하게 된다. 하지만 그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헌법 전체를 주의 깊게 꼼꼼히 읽어본 사람은 소수에 그친다. 헌법을 제대로 ...
[인문/사회] 고독의 힘
원재훈 저
홍익출판사 2015-11-13 YES24
외로운 마음의 곳간을 자기성찰의 양식으로 채운다인문적 감성으로 새롭게 정의하는 ‘고독의 진정한 가치’‘혼자’인 것을 낙오, 또는 패배로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혼자’여서 생긴 상실감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에게 한때 ‘고독이라는 병’이 유행어처럼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 적이 있다. 그런 말처럼 우리는 언제 어디서건 홀로 남겨지면 낙오자, 또는 패배자라는 느...
[인문/사회] 3일만에 책쓰기 도전
허준영 저
이페이지 2015-11-11 YES24
자신을 알리기 위해 책을 쓰는 사람들이 많다. 그들은 전문작가일 수도 있고 일반인 일 수도 있다. 사업을 하는 사업가일 수도 있고 교사나 일반 직장인일 수도 있다. 자신을 알리기 위해 블로그, 네이버카페, 페이스북 등을 이용한다. 이러한 것들이 도움이 될까? 꾸준히 자신이 어필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해 글을 쓴다면 분명 도움이 된다. 하지만 나를 알리는 최...
[인문/사회] 소모되는 남자
로이 F. 바우마이스터 저/서은국,신지은,이화령 공역
시그마북스 2015-11-11 YES24
남녀차에 대한 새로운 사회진화적 해석현대사회에 있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똑똑한 것도 아니고, 여성에 대한 사악한 음모자들도 아니다. 남녀의 차이는 기본적인 호불호와 관련되었다고 보는 것이 옳다. 남녀 차이는 남성이 다른 남성을 어떻게 대하는지, 이 남성들의 관계방식이 여성들 간에 이루어지는 관계방식과 어떻게 다른지에 기인한 것이다. 또한 남녀 차이는 문화가...
[인문/사회] 이주 행렬
이샘물 저
이담북스(이담Books) 2015-11-09 YES24
이주의 시대, 이주와 당신의 삶은 무관한가?누군가는 새로운 곳에서 삶의 터전을 일궈보겠다며 이주하고, 먼저 그곳에 살고 있던 사람들은 이들을 받아들인다. 어느 쪽이 됐든, 이주는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누군가의 이주는 단순히 특정 지역에 인구가 증가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이들로 인해 생활환경과 경제, 문화, 정치가 변화한다. 즉 이주는 우리가 ...
[인문/사회] 복지정치의 두 얼굴
안상훈,김병연,장덕진,한규섭,강원택 공저
21세기북스 2015-11-05 YES24
스웨덴 vs. 그리스,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행복한 대한민국, 사회적 대타협에 달려 있다!최근 5년간 우리나라에서 자살로 목숨을 끊은 사람이 이라크 전쟁 등 전 세계 전쟁 사망자보다 많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발표됐다. 하루 자살자 평균 38명. 한국은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의 오명을 11년째 유지하고 있다. 전 세계 최저 출산률이라는 사실도 외면...
[인문/사회] 크리스토퍼 힐 회고록
크리스토퍼 힐 저/이미숙 역
메디치미디어 2015-11-05 YES24
탈냉전 이후 국제분쟁과 전쟁위기의한가운데에 그가 있었다!내전과 분쟁과 전쟁, 핵무기 경쟁을 끝내기 위해 슈퍼파워 미국은 보스니아, 코소보, 그리고 북한과 어떤 협상을 진행했나? 생명이 위협받고 국익이 충돌하는 외교현장에서 벌어지는 협상 주체들의 깊은 고뇌와 피 튀기는 논쟁!최초로 5.18 광주묘역을 참배한 미국 대사,“더글러스 맥아더 장군 이래 한국에서 가...
[인문/사회] 큐브, 칸막이 사무실의 은밀한 역사
니킬 서발 저/김승진 역
이마 2015-11-05 YES24
우리는 왜 칸막이 사무실에 갇히게 되었나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지만 그토록 미워하는 사무 공간의 역사우리가 일주일에 5일,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이 지긋지긋한 공간에 우리가 몰랐던 역사가 있다고? 제대로 된 일도 없이 멋이나 부리는 족속이라고 조소당하던 사무원 계층의 탄생부터 사무실에 여성이 진입하면서 생겨난 혁명적 변화, 사무용 고층 건물의 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