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인해 매년 바다에 흡수되는 열에너지 양은 지구상 모든 사람이 하루종일 전자레인지를 100개씩 가동할 때 소모되는 에너지양과 같다. 2020년 한 해 동안 바다에 흡수된 열에너지 양은 약 20ZJ로 추산되는데, 이것은 1초마다 원자폭탄이 4개씩 폭발하는 수준의 에너지에 해당한다.
지구 곳곳에서 들려오는 기후변화로 인한 기후재난 소식이 심상치가 않다. 평소 겨울철에도 포근하던 미국 텍사스주에서는 2021년 초 기록적인 한파와 폭설로 수십 명이 사망하고 대규모 정전 사태가 잇따르며 난방과 식수가 공급되지 않아 수백만 명이 피해를 겪었다. 반면, 북극해에서는 해빙이 녹으면서 북극점 이정표가 언제 사라질지 모른 채 위태롭게 놓여 있다. 기후변화가 다른 나라의 문제일 뿐이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우리나라도 지난 2020년 최장 기간 동안 장마가 이어지며 홍수와 산사태 등 피해를 입었다. 기후변화(Climate change)로 시작된 경고는 기후위기(Climate crisis)를 넘어 이제는 기후비상(Climate emergency)으로까지 넘어왔다. 과학자들은 지구온난화로 인류가 멸망한다는 미래가 수십 수백년 후가 아니라 당장 우리 눈앞에 와있다고 말한다. 이제는 전세계인 모두가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는 지금, 우리는 기후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2도가 오르기 전에》의 저자 남성현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기후위기를 이겨내기 위해선 먼저 기후에 대해 정확히 아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기후변화 이전의 지구가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알아야 기후변화의 징조도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지구의 환경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알아야 그 안에서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기후의 개념부터 지구와 기후에 대해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질문들을 하늘, 땅, 바다 그리고 얼음으로 나누어 과학적 자료들과 함께 대답하고 있다. 각 부분별로 지구생태계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배우다보면 결국 이 모든 것들이 모여서 톱니바퀴 굴러가듯 맞물려 지구를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후, 기상, 날씨의 차이는 무엇일까? 미세먼지도 기후변화라고 할 수 있을까? 폭우, 폭설이 무조건 이상기후현상 때문일까? 정말 지구가 위기에 처한 것일까? 기후위기 앞에서 우리가 한번쯤 가져본 궁금증을 이 책을 통해 알아보자. 지구에서 계속 생존하기 위해서는 ‘2도가 오르기 전에’ 질문에 대한 답을 알고 있어야만 한다.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로,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에서 해양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물리해양학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간과 지구가 공존할 수 있는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해 해양관측 중심의 자연과학 연구와 교육을 진행 중이다. 국방과학연구소 제 6기술연구본부에서 해군을 위한 해양연구를, 미국 스크립스(Scripps) 해양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기후와 해양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남빙양,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등 전 세계 각지의 바다를 60회 이상 탐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50여 편의 국제학술논문을 발표했고, 2017년에는 대한민국 한림원의 우수한 젊은 과학자 ‘차세대 창립 회원’으로, 2018년에는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우수강의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현재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 정부 대표로 파견되거나 각종 국제 회의에 참가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푸른행성지구」 시리즈, 『위기의 지구, 물러설 곳 없는 인간』 등이 있다. 『기후변화 ABC』를 감수했다.
목차
프롤로그 4Part 1. 기후의 정의1. 기후와 날씨는 어떻게 다를까? 102. 기후는 원래 변하지 않을까? 133. 기후가 변하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64. 기후변화는 언제부터 나타났을까? 225. 기후변화는 왜 일어날까? 276. 지구온난화만 기후변화일까? 31Part 2. 기후와 기후변화 - 땅7. 우리나라에서 가장 추운 지역과 가장 더운 지역은? 368. 세계에서 가장 추운 곳과 가장 더운 곳은? 429. 지구에는 어떤 기후대가 있을까? 4810. 한국에서도 커피나무를 키우고 와인을 생산할 수 있을까? 5311. 화산과 지진은 무슨 관계일까? 5812. 백두산이 분화하면 기후가 바뀔까? 6213. 사막도 기후변화로 생긴 걸까? 6614. 장마도 기후변화 때문에 나타나는 걸까? 7015. 기후변화로 만년설이 다 녹으면 어떻게 될까? 7516. 기후변화로 땅이 녹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7917. 기후가 변화하면 모든 생명체가 멸종할까? 8318. 날씨가 따뜻해지면 바퀴벌레가 더 많아질까? 8619. 초콜릿이 사라질 수도 있다고? 90Part 3. 기후와 기후변화 - 하늘20. 구름 위는 얼마나 추울까? 9621. 구름은 어떻게 그리고 왜 각양각색으로 생길까? 10022. 세계에서 비가 가장 많이 오는 곳과 가장 안 오는 곳은? 10823. 계절이 바뀌지 않는 곳도 있을까? 11424. 온실가스는 어떻게 늘어날까? 11925. 미세먼지가 증가하는 것도 기후변화 때문일까? 12426. 지구 온도가 겨우 1도 올랐을 뿐인데 왜 위기라고 할까? 12927. 지구에 봄과 가을은 사라지고 여름과 겨울만 남을까? 13328. 폭염은 앞으로 더 심해질까? 13629. 지구온난화인데 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까? 14030. 더워진 지구에서 가장 위험한 건 무엇일까? 14631. 미래의 기후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5032. 기온이 오르는 것을 막을 방법은 없을까? 156Part 4. 기후와 기후변화 - 바다와 얼음33. 바다에도 기후가 있을까? 16234. 보이지도 않는 깜깜한 바닷속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6735. 바닷물의 수온은 일정할까? 17136. 왜 바다마다 환경이 다를까? 17537. 우리나라의 해안은 서로 어떻게 다를까? 17938. 기후변화는 바다도 멈추게 할까? 18339. 지구온난화가 바닷물도 끓게 할까? 188 40. 기후변화로 바닷속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19241. 바닷속 물고기는 어디에 많을까? 19642. 태풍은 왜 생기는 것일까? 20143. 강한 태풍은 기후변화 때문일까? 20544. 얼음은 왜 바다에 가라앉지 않을까? 20945. 북극과 남극은 어떤 얼음으로 덮여 있을까? 21446. 빙하가 녹으면 가장 먼저 물에 잠기는 곳은 어디일까? 22047. 빙하가 녹아서 해수면이 상승하는 걸까? 22748. 바닷물은 왜 산성으로 변할까? 23349. 바다가 오염되어 기후가 바뀔 수도 있을까? 23650. 바닷속 생태계는 어떻게 변해 갈까? 24151. 동해 오징어는 왜 ‘금징어’가 되었을까? 24652. 해수면 상승을 막을 수는 없을까? 250Part 5. 기후위기와 대응 노력53. 기후위기란 무엇일까? 25654. 기후와 전쟁은 무슨 상관이 있을까? 26055. 기후위기는 막을 수 없을까? 26456. 희망은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 270에필로그 277참고문헌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