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물음표로 시작해 느낌표로 나아가는 철학 입문서철학 공부의 미로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유튜브 ‘충코의 철학’ 이충녕이 전하는 사고의 지도어려운 말로 머리 아프게 만드는 철학책은 이제 싫다! 암기 대신 사유를 원하는 철학 독자들을 위해, 24만 유튜브 ‘충코의 철학’을 운영하는 철학자 이충녕이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유할 수 있도록 쓴 철학 입문서 『쓸모 있는 사고를 위한 최소한의 철학』이 출간됐다. ‘이데아’ ‘초인’ ‘정언명령’… 한 번쯤 들어봤지만, 막상 설명하려 하면 입이 떨어지지 않는 철학의 말들. 그런 낯설고 복잡하게 느껴지는 개념들을 일상적인 언어로 쉽고 명확하게 풀어내는 친절한 책이다. 플라톤, 칸트, 니체, 데카르트, 사르트르 등 대중에게 잘 알려진 철학자부터, 호르크하이머, 제임스, 버틀러 등 다소 생소한 철학자들까지 고대와 중세, 근대와 현대를 아우르며 철학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질문을 던진다.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졌을까?’ ‘어떻게 사는 게 좋을까?’ ‘무엇을 믿을 수 있을까?’ ‘나는 누구일까?’ ‘어떤 세상을 만들어야 할까?’와 같은 물음은 결국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과 맞닿아 있다. 『쓸모 있는 사고를 위한 최소한의 철학』은 개념어를 엮고 퍼즐처럼 단어를 맞추어가며 철학의 넓고 깊은 세계를 명확한 키워드들로 안내하는 ‘사고의 지도’가 된다. 단순히 설명을 듣는 것이 아니라, 자기만의 생각을 펼쳐나가는 연습. 이 책은 철학 공부에는 시작과 도전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저자소개
대중과 소통하는 젊은 철학자.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석사를 수료했다. 존재의 의미를 찾겠다는 포부로 철학과에 진학했으나, 의미는 정답처럼 존재하는 게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현재 유튜브 채널 〈충코의 철학〉 을 운영하면서, 동서양 철학자들의 지혜를 통해 삶의 다양한 문제를 탐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어떤 생각들은 나의 세계가 된다』 , 『철학자들은 대체 무슨 생각을 할까』 등이 있다.
목차
1장 결국 세상만사를 설명하고 싶어서만물은 변한다(탈레스, 밀레토스학파): 철학의 시작, 자연철학, 아르케, 뮈토스와 로고스형이상학의 아버지(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존재, 진리와 의견, 동일성 혹은 차이내 말이 맞다구?(소피스트들): 상대주의와 회의주의, 인본주의이데아의 탐구자(플라톤): 이데아, 정의, 지성주의2장 어떻게 살 것인가좋은 삶에 대하여(아리스토텔레스): 에우다이모니아, 프로네시스, 아레테다양한 삶의 기준(에피쿠로스학파, 스토아주의, 피론주의): 아타락시아, 아파테이아, 쾌락주의고백하는 철학(아우구스티누스): 변증론, 주의주의신앙과 이성(토마스 아퀴나스): 자연법3장 내가 나인가? 너는 너인가?항상 의심할 것(데카르트): 코기토, 심신이원론, 기계론함께 살기 위해(홉스, 로크): 사회계약론, 자유주의만물 속의 신(스피노자): 실체, 범신론, 정동가능한 최선의 세계(라이프니츠): 모나드, 가능세계합리적인 사람들(버클리, 흄): 관념론, 경험론 vs 합리론4장 우리의 세계를 만들다사유의 천재(칸트): 선험, 물자체, 의무론, 정언명령절대정신이라는 세계(헤겔): 변증법, 시대정신세계를 변화시키는 철학(마르크스): 유물론, 소외극복하는 마음(쇼펜하우어, 니체): 의지, 표상, 초인무엇이 좋은 것인가?(벤담, 밀) 공리주의, 질적 공리주의5장 그럼에도 우리는 나아간다비판의 철학(호르크하이머): 이성타인은 지옥일까?(사르트르, 레비나스): 실존, 타자언어와 실재의 경계에서(비트겐슈타인): 언어놀이, 가족유사성현상이라는 세계(후설): 실증주의실용성이 곧 진리다(제임스): 실용주의철학은 현재 진행 중(버틀러, 가브리엘): 수행성, 실재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