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모두 병들었지만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학교, 학생, 교사, 교육에 대한 퇴직 선생님의 편지!몇 번의 기간제 교사 근무, 공립과 사립학교에서의 경험, 정교사가 되고 나서 바라본 것까지 10여년의 기억과 경험을 토대로 쓴 퇴직 교사의 학교 에세이이다. 학생과 학교를 너무 사랑했지만 교단을 등져야 했던 선생님으로서 좋은 기억과 나쁜 기억이 공존하는 학교에서의 일들을 담담히 서술하면서 제자가 부디 더 좋은 선생님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솔직한 이야기와 조언들을 담아냈다. 학교를 나온 뒤에야, 바깥사람이 되어서야 진짜 우리 학교를 마주했다는 저자는 여전히 현장을 지키고 있는 동료들의 시리고 아픈 말 속에 담긴 그들의 고민은 얼핏 새것 같아 보여도 자세히 보면 낡고 오래되었기에 낯설지 않았음을 고백하면서, 그와 동시에 모든 문제는 학교가 중심이 되어서 해결되기를 갈망한다.애제자에게, 같은 전공을 공부하는 학우에게, 교단에 선 동료 교사에게, 아니, 그 무엇보다 친구라는 이름이 어색하지 않게 되어 버린 제자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을 통해 비단 교육 현장뿐 아니라 오늘도 각자의 자리에서 비릿한 성장통을 겪고 있는 모든 어른이(어른+어린이)들과 함께 위로를 나눌 수 있는 글이 되면 좋겠다는 희망도 슬쩍 담았다.
저자소개
퇴사 후 반려인
유기견을 가족으로 맞이하기 위해 10여 년간 교사로 근무한 학교를 그만뒀다. 어렵게 들어간 직장을 박차고 나와 한다는 일이 고작 개 반려하기라는 게 의아할 수 있지만, 수년간 반려 가족을 꿈꾼 내겐 진지한 선택이었다. 떠돌이 생활을 하며 마음의 문을 닫아버린 한 유기견을 위해 반려동물 관련 자격증을 따고 각종 수업을 듣기도 했다. 이제는 보호자와 교감할 줄 알게 된 반려견 무늬와 친구들이 뛰어놀 수 있는 마당이 있는 집을 꿈꾸며 살고 있다.
임시보호 공동체
버려지거나 학대와 방치 현장에서 구조된 개의 삶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찾던 중 우연히 안락사 직전의 한 유기견을 임시보호하게 되었다. 따뜻한 가족을 찾아줌과 함께 찾아온 이별에 매번 눈물 콧물 쏙 빼고 있다. 하지만 그보다 더 큰 보람이 있음을 알게 된 후 가족들과 함께 꾸준히 임시보호 봉사를 하는 임시보호 공동체가 되기로 했다. 잠들기 전 침대에 누워 가족의 품에 안긴 개들의 사진과 동영상을 보며 울다가 웃곤 한다.
동물구조단체
동물구조단체 위액트의 액터로 봉사하고 있다. 단체가 구조한 구조견의 입양 공고문을 작성하는 팀의 일원이다. 홈페이지와 SNS에 싣는 이 글은 생사의 갈림길에 섰던 작은 생명이 당당히 살아 있음을 세상에 크게 소리쳐 알리는 것과 같다. 또한 어딘가에 있을 가족에게 이 글이 닿아 입양으로 이어져야 하기에, 늘 진심을 담고 최선을 다한다.
글쓰기 생활자
학창 시절엔 끓어 넘치는 자아를 종이에 꾹꾹 눌러 담아 나열한 단어와 문장을 시로 포장해 과분한 상을 받았고 대학에 진학했다. 소중한 인연, 찬란한 일상의 영감이 기억 저편으로 사라지는 게 아쉬워 무엇이든 꾸준히 적는다. 그중 아끼고 사랑하는 것을 쓰는 건 큰 용기를 내서 하는 편인데, 그렇기에 이 책에 담은 글은 행간과 여백에 숨겨둔 뜻까지 모두 애달프고 소중하다.
브런치 https://brunch.co.kr/@redmanteau
인스타그램 https://instagram.com/mooneethed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