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과학] 아는 만큼 보이는 세상 : 우주 편
마쓰바라 다카히코 저/송경원 역
유노책주 2024-10-14 YES24
별이 무수히 많은데도 밤하늘은 왜 어두울까?로켓처럼 빠르게 날아가면 미래로 갈 수 있을까?마블 영화 속 평행우주는 진짜로 존재할까?“우주를 아는 만큼 미래가 커진다!”보통 ‘우주’라고 하면 무엇을 떠올리게 될까?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 블랙홀, 인공위성, 그리고 우주를 배경으로 한 각종 SF 영화들일 것이다. 20세기 영화의 상징인 〈스타워즈〉부터, 최근에...
[자연과과학] 천문학과 생물학적 관점에서 본 창조론
김동찬 저
좋은땅 2024-10-10 YES24
이 책은 천문학과 생물학적 관점에서 창조론을 바라본 책으로, 크게 세 가지 내용을 담고 있다: i) 우주, ii) 지구, 그리고 iii) 창조인가 진화인가?이다.우주 부분에서는 우주의 기원에 대해 살펴보며, 성경 창세기에 기록된 천지창조 이야기가 현대 천문학 연구로 밝혀진 관측 사실과 어떻게 일치하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지구와 태양의 창조, 젊은 지구 창...
[자연과과학] [단독] 아주 사적인 은하수
모이야 맥티어 저/김소정 역
까치(까치글방) 2023-10-25 YES24
라이언 노스, 찬다 프레스코드-와인스타인, 스테판 알렉산더 강력 추천천체물리학과 신화학을 모두 섭렵한 MZ 세대 물리학자의 재기 넘치는 우주 탐험“1인칭 시점”으로 바라본 우리은하의 진짜 모든 것은하수는 오랫동안 인류에게 특별한 존재였다. 해가 지면 하늘에 떠오르는 별 무리는 이 세상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했고, 수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자연과과학] 나의 사랑스럽고 불평등한 코스모스
찬다 프레스코드와인스타인 저/고유경 역
휴머니스트 2023-09-04 YES24
다른 과학책이 모델하우스라면 이 책은 현실의 과학이다!백인 시스젠더 엘리트 남성의 과학에 내재된 인종차별, 성차별, 식민주의를 파헤치다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과 그 너머, 암흑물질의 최신 이론 등 전 세계 과학자들의 주목을 받는 저자의 연구 주제를 친절하게 소개하는 동시에, 과학계가 얼마나 차별적인 시스템으로 가득 차 있는지를 낱낱이 고발한다. 흑인이자 여성이...
[자연과과학] 우주에서 기다릴게
이소연 저
위즈덤하우스 2023-04-07 YES24
우주인의 탄생부터 국제우주정거장 체류, 지구 귀환과 내일의 우주 이야기까지, 대한민국 첫 우주인 이소연이 펼치는 호기심과 용기의 기록. 밤하늘을 바라보는 이들에게 광활한 우주를 꿈꾸게 한 그의 탐험은 고스란히 우리나라 우주탐사의 역사가 되었다. 호방하고 당찬 이소연은 다시 지구로 귀환한 순간부터 전 세계의 눈길을 사로잡으며 빛나는 활약을 시작했다. 단 한순...
[자연과과학] [단독] 누리호, 우주로 가는 길을 열다
오승협 저
알에이치코리아(RHK) 2023-03-23 YES24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7대 우주강국 진입기! 그 속에 숨겨진 땀과 눈물의 이야기대한민국 우주발사체 산업의 살아 있는 역사, 오승협 박사의 휴먼 드라마 데니스 홍, 유용하 한국과학기자협회장, 윤영빈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강력 추천!『누리호, 우주로 가는 길을 열다』. 누리호 발사 성공의 주역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영화 같은 여정, 그리고 우리가 몰랐던...
[자연과과학]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사라 시거 저/김희정 역
세종서적 2021-06-17 YES24
“외계생명체 연구의 최전선”MIT 행성학자 & 맥아더 펠로우상 수상, NASA 스타셰이드 팀 리드[타임]지 선정 ‘우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25인’ 사라 시거가 말하는 우주와 인생『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은 우주에서 외계생명체를 가장 먼저 만날 최초의 1인으로 꼽히는 사라 시거(Sara Seager)가 과학 하는 삶을 온전히 담아낸 책이다. 얼마 전, 세...
[자연과과학] 뉴 코스모스
데이비드 아이허 저/최가영 역
예문아카이브 2017-06-08 YES24
우주에 대해 가장 궁금한 17가지“코스모스 이후 35년의 공백을 채우다!"과학의 대중화에 위대한 업적을 남긴 천문학자 칼 세이건(1934-1996)의 걸작 다큐멘터리 ‘코스모스(Cosmos)’가 방영되고 같은 제목의 책이 출간된 지 35년 넘는 세월이 흘렀다. 이 기간 동안 우주에 관한 인류의 지식은 새로운 기술과 최첨단 장비에 힘입어 눈부신 발전을 이뤘다...
[자연과과학] 국보 제230호 송이영의 혼천시계
김상혁 저
한국학술정보 2016-05-11 YES24
송이영이 1669년에 제작한 혼천시계는 동양의 혼천의의 기술전통과 서양에서 발전한 추를 이용한 자명종의 동력을 결합시킨 독창적인 천문기기이다. 이 혼천시계는 현재까지도 세계시계사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책은 송이영의 혼천시계를 기술사적으로 조사하고 작동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작동 모델로 복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각 부속장치...